“뒤집힌 배 안에서 물이 찰랑거리는 것을 보곤 에어포켓이 있을 거라고 직감했습니다. 황급히 가보니 39시간이 지난 상황에서도 물에 젖지 않은 생존자가 있었습니다.” <br /> 지난 19일 경북 경주 앞바다에서 발생한 홍게잡이 배 전복사고 당시 40시간 만에 생존자를 구조한 해경 중앙특수구조단 소속 여찬희(35) 경장(잠수사)이 한 말이다. 그는 구조 활동 중 골반 등을 다쳐 치료를 받은 후 26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당시의 상황을 설명했다. <br /> <br /> 여 경장은 “생존자가 내 팔과 동료의 손을 꼭 잡은 채로 수면 위로 올라왔는데 가슴이 벅찼다”며 “구조 경력 7년 만에 처음 살아있는 실종자를 구조해 기쁘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홍게잡이 어선 전복 사고는 지난 19일 오후 6시 46분쯤 신고가 접수됐다. “선원 6명이 탑승한 9.77t급 홍게잡이 어선 거룡호가 전복됐다”는 내용이었다. 현장에 출동한 해경은 어선이 완전히 가라앉지 않도록 배에 공기주머니를 묶은 후 구조작업에 나섰다. <br /> <br /> 여 경장은 사고 발생 39시간14분이 지난 21일 오전 10시쯤 이뤄진 3차 선내 진입 수색에 투입됐다. 1~2차 수색을 벌인 대원들이 “기관실 쪽에 에어포켓이 형성돼 있는 것 같다”고 했지만, 시간이 많이 흘러 생존자가 있을 가능성은 희박해 보였다. <br /> <br /> 여 경장은 동료 서성진(31) 경장과 함께 기관실을 가던 중 식당을 발견했다. 입구가 가스통으로 막혀 있어 빼내려고 했지만 쉽지 않았다. 여 경장이 한숨을 돌리며 주변을 돌아보는 순간, 언뜻 물이 찰랑거리는 게 보였다. 공기층인 에어포켓이 형성됐을 가능성을 직감한 순간이다. 잠수사들은 수색 작업 중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news.joins.com/article/24001674?cloc=dailymotion</a>